[소개] Sludge Retention Time, SRT, 고형물 체류시간 ← 이게 무슨 뜻이야?
너 혹시, SRT에 대해 설명해 볼수 있겠어?
답변: 반응조 부피에 농도 곱하고, 제거되는 슬러지 유량에 농도곱한거 나눈거 아닌가요? 공식 보세요!
맞아, 그래서 그게 먼데??
아---?
환경공학, 특히나 수처리 분야 공학도로써 가장 필수적인 개념이 무엇일까 생각해 보았을때, 분명 손가락 세개중 하나로 꼽힐 개념이 바로 SRT 이다. 헌데, 우리는 이 SRT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? 개인적인 생각으로, 이 개념에 대해 바로 알기 위해서는 몇가지 배경지식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. 그래서, 틈틈히 이에 대한 개념을 기술해 보려 하며, 이를 통해 나 또한 지식을 정리하고 보충할 수 있었으면 한다. 앞으로에 대한 개요는 아직 없다. 그냥 천천히 시작해 보겠다.
아, 우선 SRT에 대한 개괄적인 개념을 조금더 자세히 기술하며 오늘 소개의 자리는 마무리하도록 하자.
SRT: 단위시간당(보통 per day) 하수처리장 시스템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질량 대비, 생물학적 반응조내 체류하고 있는 모든 고형물 질량의 비율 (보통 2차 침전지는 제외). - the SRT is defined as the mass of a particulate component contained in the bioreactor divided by the mass discharged from the bioreactor per unit time (GLDF,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Third Edition)
어렵네?? 다시,
SRT: 버려지는 고형물 질량속도 대비 반응조내 존재하는 고형물 질량
느낌 왔어? 아직이야?? 마지막,
SRT: 고형물이 반응조내 체류할수 있는 시간
Ok? Okay.
그럼 일단,
끝.
Comments
Post a Comment